앱의 개발환경에 따라 앱 설치파일을 구분할 수 있는 Flavor 적용 과정을 간단히 작성해보려고 합니다.모든 과정을 기록해놓은게 아니라 일부 누락이 된 부분이 있을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고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~제가 지금 설정한 개발환경과 flavors는 다음과 같습니다.# 개발 환경 - FVM: 3.24.5 - FlutterTargetSdkVersion: 34 - flutter_flavorizr: ^2.2.3 (pub.dev)# Flavors - development : 개발을 위한 앱 - staging : 테스트를 위한 앱 - production : 출시를 위한 앱1. flavorizr.yaml 파일 추가 (lib/flavorizr.yaml) - pubspec.yaml 파일에 추가하는 방법도..
플러터 프로젝트를 만들면 항상 하는 작업중의 하나가 build.gradle 파일을 수정하는 것입니다.제가 사용하는것은 key.properties와 local.properties를 사용하도록 수정하는 것인데요.오늘은 local.properties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.https://kjmhercules.tistory.com/58 (대상 API 수준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) 링크와 함께 보면 좋을것 같아요.우선 app수준의 build.gradle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.아마 프로젝트를 처음 만들면 flutterVersionCode과 flutterVersionName 두개 항목만 있을거에요.. . .def flutterVersionCode = localProperties.getPr..
Crashlytics를 적용한 이후 앱 버전을 업데이트하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dSYM 파일이 누락되었다는 이메일이 자꾸 옵니다.먼저, dSYM 파일이 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dSYM은 debug sumbol file의 약자이고 해당 앱의 디버그 기호 및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.그럼 dSYM 파일을 업로드 방법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.1. XCode - Window - Organizer 실행2. dYSM 파일이 누락된 버전의 위치 열기 3. 패키지 내용 보기4. dSYMs 폴더 압축5. Firebase - Crashlytics - dSYM 탭으로 이동 후 dSYM 압축 파일 업로드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약 10분 이후에 적용이 됩니다.그럼 즐코딩 하세요~
간단해 보이는 탭바의 배경색을 변경하는 로직을 짜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만만하지 않았기에 그 내용을 간추려 적어보려고 합니다. 우선 구현하고자 했던 View는 아래와 이미지와 같습니다. 1. 상단에는 여행지의 리스트가 보이고 2.하단에는 두개의 탭이 있는 화면입니다. 상단의 여행지 리스트와 하단의 탭 리스트 모두 스크롤이 되어야 했기에 NestedScrollView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 NestedScrollView를 사용하는 예제는 많이 있으니 찾아보시고 혹시 code snippet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:) 그럼 탭바의 배경색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바로 설명해보겠습니다. PreferredSizeWidget renderTabBar() { var _tabBar = TabBar( . . . ..
플로이 앱을 개발하면서 인앱결제를 붙이게 되었는데 어째서인지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[앱 내 구입] 메뉴의 판매 항목이 메타데이터 누락됨 으로 설정된 상태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그래서 관련된 문제점을 찾아보니 스크린샷이 적용되지 않은 문제인걸 파악했습니다. AppStoreConnect 도움말에 있는 정보를 보면 앱 심사 스크린샷의 링크를 따라가보면 이렇게 앱 미리보기 및 스크린샷 페이지로 연결되는데 여기에는 인앱결제의 심사용 스크린샷에 대한 정보는 따로 없더라고요. 그래서 더 찾아보니 인 앱 결제 심사용 스크린샷은 사이즈가 다르단걸 확인했어요. 바로 640X920 사이즈 였습니다. 저는 스크린샷에 사용할 이미지가 두장이라 두장을 겹쳐서 640x920 사이즈로 만들었고, 심사용 추가 정보에 ..